//include "/lib/chkMobilePc.php"; ?>
말, 언어 장애는 상대방의 의사소통 의도를 잘 파악하지 못하거나, 자신의 의사를 상대방에게 적절히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입니다. 이러한 문제는 뚜렷한 원인이 없이 나타날 수 있으며, 인지ㆍ청각ㆍ정서ㆍ 행동의 문제와 신경학적 문제를 동반하여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. 언어치료는 대상자가 가진 언어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언어모델과 언어 환경을 제공하고, 증상에 초점을 둔 접근을 통해 언어 문제 해결과 의사소통 기능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.
ㆍ 치료사와 대상자 간 1:1 개별 치료로 진행함
ㆍ 치료목표의 일반화, 사회성 언어 기능 향상을 위한 2~3명 그룹치료를 운영함
ㆍ 회기 당, 40분 치료 + 10분 보호자 상담으로 이루어짐
ㆍ 보통 주 2회를 기준으로 하며, 대상자에 따라 주 1회~3회 치료를 실시함
대상자 | ㆍ이해언어와 표현언어 발달이 모두 지연된 경우 |
ㆍ언어를 이해하고 있으나 표현력이 부족한 경우 | |
ㆍ감각 기관의 문제(청각장애)를 동반하여 언어발달이 지연된 경우 | |
ㆍ뇌 손상(뇌성마비)을 동반하여 언어발달이 지연된 경우 | |
ㆍ지적기능 부족(지적장애)을 동반하여 언어발달이 지연된 경우 | |
ㆍ사회적인 교류 부족(자폐스펙트럼 장애)을 동반하여 언어발달이 지연된 경우 |
대상자 | ㆍ연령에 적합한 발음 발달을 이루지 못한 경우 |
ㆍ습관적으로 혀 짧은 소리를 내거나 특정 발음에 오류를 보이는 경우 | |
ㆍ부정교합이 있어서 발음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| |
ㆍ설소대가 짧아서 발음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| |
ㆍ구순열 및 구개열로 인해 발음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| |
ㆍ청각장애로 인해 발음이 정확하지 않은 경우 |
대상자 | ㆍ말을 버벅거리거나 말이 막혀서 자신의 의사를 잘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 |
ㆍ말 속도가 너무 빨라서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| |
ㆍ말더듬으로 인해 의사소통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하는 경우 |
대상자 | ㆍ읽기와 쓰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 |
ㆍ주의력결핍과잉행동(ADHD) 문제를 동반하여 학습의 문제를 보이는 경우 | |
ㆍ청각적 기억력과 청각적 이해력이 부족한 경우 |
대상자 | ㆍ뇌졸중, 뇌상해로 인해 전반적인 의사소통 기능이 저하된 경우 |
ㆍ사고 이후 단어의 명칭이 잘 생각나지 않는 경우 | |
ㆍ사고 이후 언어이해 및 언어표현 기능이 저하된 경우 |
대상자 | ㆍ보청기 착용 후 청능훈련 및 언어치료가 필요한 경우 |
ㆍ인공와우 이식술 후 청능훈련 및 언어치료가 필요한 경우 |
대상자 | ㆍ 장애의 정도가 심하여 말 산출을 통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경우 |
ㆍ신체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해 기계를 이용한 의사소통이 필요한 경우 |